“1,100% 급등했던 강세 크로스오버 발견” 엄청난 성장세 전망 보이는 코인 공개되자 모두가 놀랐다
- 박승준 기자
- |
- 2023.12.06 18:47
“1,100% 급등했던 강세 크로스오버 발견” 엄청난 성장세 전망 보이는 코인 공개되자 모두가 놀랐다
리플, 강세 신호 포착…0.7달러(919.80 원) 돌파 가능성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에그라그 크립토가 인기 알트코인인 리플(Ripple, XRP)의 강세 신호를 포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에그라그 크립토는 리플의 2주 시세 차트에서 21일 지수이동평균선(EMA)과 55일 이동평균선(MA) 사이 강세 크로스오버(bullish crossover)를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강세 크로스오버는 두 이동평균선이 교차하면서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패턴입니다.
에그라그 크립토는 과거에도 리플의 시세 차트에서 강세 크로스오버가 포착된 후 큰 상승세가 이어졌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번에도 리플이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2017년 3월과 2020년 12월에 리플의 시세 차트에서 강세 크로스오버가 포착된 후 리플은 각각 90%와 100%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어 리플은 2017년 3월과 2020년 12월 사이에 1100% 급등했습니다.
뉴스BTC의 가상자산 시세 분석 전문 기고가 아유시 진달도 리플의 강세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진달은 리플이 0.612달러(804.17 원) 수준에서 느린 속도로 상승세를 보이고, 0.72달러(946.08 원) 고점에서 0.572달러(751.61 원) 저점으로 향하는 피보나치 23.6% 되돌림 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진달은 리플이 0.625달러(821.25 원)에서 즉각 저항을 직면한 뒤 0.645달러(847.53 원) 구간이나 0.72달러(946.08 원) 고점에서 0.572달러(751.61 원) 저점으로 향하는 피보나치 50% 되돌림 선에 첫 번째 저항선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어 0.65달러(854.10 원)와 0.685달러(900.09 원)에 순차적으로 주요 저항선이 형성되고, 이를 돌파한 뒤에는 0.7달러(919.80 원) 저항까지 향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전문가들의 분석을 종합하면, 리플은 단기적으로는 0.625달러(821.25 원)와 0.645달러(847.53 원)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0.685달러(900.09 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으로는 0.7달러(919.80 원)와 그 이상의 저항선을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편 하락세를 맞이한 리플 구매에 대한 전문가의 분석이 공개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리플, 규제 리스크 해소·기관 수요 증가로 반등 기대
미국 투자 전문매체 더 모틀리 풀은 리플(XRP)이 사상 최고치 대비 75% 하락한 이유로 고금리,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전, 블록체인 간 경쟁을 꼽았습니다.
더 모틀리 풀은 “암호화폐 겨울, 규제 문제, 이더리움이나 솔라나 같은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과의 경쟁이 현재의 상황을 초래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리플은 2020년 12월 2.96달러(3,889.44 원)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후 SEC는 리플이 증권이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고, 리플은 이를 부인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더 모틀리 풀은 “리플에 대한 SEC의 소송은 일부 긍정적인 진전을 보였지만, 명확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서 XRP 가격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더 모틀리 풀은 리플의 가장 큰 강점으로 금융 기관과의 협력을 꼽았습니다. 리플은 이미 수십 개의 금융 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결제 처리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모틀리 풀은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되고 암호화폐에 대한 주류 수요가 다시 증가하면 기관은 더 많은 XRP 거래를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이어 “이렇게 안정화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XRP를 결제의 주류 디지털 통화로 채택할 수 있다. 기관 투자자들도 마침내 XRP에 관심을 갖고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함께 구매할 것이다”고 예상했습니다.
저작권자 © 핫한뉴스 - 이 시대에 가장 빠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